Burninghering's Blog
article thumbnail
211029TIL_서버리스(3)-백엔드2
Today I Learned 2021. 11. 3. 09:24

lambda에 새로운 함수 bbs를 만들어 새로 시작했다. 새로운 코드에 보안암호를 아이디에 집어넣고 테이블 이름(테이블도 새로 생성)도 코드에서 바꿔주고.. 어제 매달렸는데 결국 role에서 정책 연결 문제였던 듯 하다. 이렇게 정책 연결을 해주어야 한다..... 그다음 vpc도 설정하고 정책연결 한번 더 (vpcfullaccess) 인바운드는 요청(api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 아웃바운드는 외부연동 차단되어있어 고쳐주어야 함 프라이빗하게 되어있으니 nat 게이트웨이(NAT게이트웨이는 프라이빗한 서블릿을 외부 인터넷과 연결)를 생성해줘야 소통 가능 퍼블릭 서브넷 vs 프라이빗 서브넷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넷은 퍼블릭 서브넷 연결이 되지 않은 서브넷은 프라이빗 서브넷 ex)중요한 데이터..

article thumbnail
211028TIL_서버리스(2) - 백엔드
Today I Learned 2021. 10. 29. 01:59

어제 배운 것은 프론트 서버리스, 오늘은 백엔드 서버리스! 도커,쿠버네티스를 쓰는 이유는 EC2로만 백엔드 아키텍처를 만들기엔 한계가 있다 1. EC2 직접 관리(내 컴퓨터를 관리하는 것과 비슷) -> 인스턴스 크기 선택, OS 업데이트, 디스크 용량 조절 등... (EC2 갯수가 늘어나면 더 관리 힘듦) 2. 확장의 유연성 -> 운영 서비스에 트래픽이 몰리면 EC2 추가 -> load balancer에 붙이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 3. 과금 문제 -> aws 사용하면 인프라 관리 효율적이지만 과금이 많이 됨..(서비스 운영 시 유형 조절 어려움) 유연한 인프라와 아키텍처 개선을 위해 aws에서 서버리스 제공! 서버리스 :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서버를 빌려쓰는 형태. 클라우드가 서버를 관리까지 해주는 형태로..

article thumbnail
211028TIL_서버리스 프론트엔드(1)/SQL-서브쿼리/자바 환경 설치
Today I Learned 2021. 10. 28. 01:00

오늘 원격 수업 첫 시간에 배운 내용 정리 기존의 프론트엔드 페이지는 NGINX 웹서버를 인스턴스에 설치하여 관리했습니다. HTTPS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서를 설치해 봤습니다. S3 정적웹호스팅 기능을 사용하여 서버리스로 프론트엔드 페이지를 관리하였습니다. CloudFront와 Certification Manager를 사용하여 HTTPS를 인스턴스 없이 생성해 보았습니다. WAF를 이용하여 좀 더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Route53을 이용하여 DNS를 이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https://teamsparta.notion.site/1-524f4849367f426bb9e95ef0113dc2d4#50b12703704d4416951b2bcb09b14ff3 서버리스 프론트엔드 - 1 매..

article thumbnail
211026TIL_SQL 3주차
Today I Learned 2021. 10. 27. 00:38

Group by : 동일한 범주를 갖는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범주별 통계를 내주는 것 "~별로" 라는 말이 나오면 무조건 group by! 묶은 것과, 묶은 것 당의 카운트를 보여줘! select 범주별로 세어주고 싶은 필드명, count(*) from 테이블명 #중간 부분을 2번째에 써줌 group by 범주별로 세어주고 싶은 필드명; #1번째로 쓰고 SELECT name,count(*) from users group by name Order by : 정렬하기 select name, count(*) from users group by name order by count(*) desc; 더보기 위 쿼리가 실행되는 순서: from → group by → select → order by from user..

211026TIL_트리,힙 / SQL
Today I Learned 2021. 10. 26. 04:45

트리와 힙 큐, 스택 -> 선형 구조(데이터 순차적 나열) 트리 -> 비선형 구조(데이터 계층적)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는 용도에서 차이점이 나는데, 선형 구조 : 자료 저장, 꺼내기 비선형 구조 : 표현에 초점 (EX : 폴더 구조) 트리 - 트리 용어 더보기 Node: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Root Node: 트리 맨 위에 있는 노드 Level: 최상위 노드를 Level 0으로 하였을 때, 하위 Branch로 연결된 노드의 깊이를 나타냄 Parent Node: 어떤 노드의 상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Child Node: 어떤 노드의 하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Leaf Node(Terminal Node): Child Node가 하나도 없는 노드 Sibling: 동일한 Parent Node..

TIL1021_알고리즘 강의 시작
Today I Learned 2021. 10. 21. 04:04

LEARN 1.시간 복잡도의 새로운 접근 방법. 코드 한줄 한줄 씩 계산하는 방법이 참신하다. 2.Array, Linked List 차이점 3. 생성자,클래스,메소드 -> 클래스를 이용하면 같은 속성과 기능을 가진 객체들을 묶어서 정의 생성자(Constructor) : 객체를 생성 시 데이터를 넣어주거나, 내부적으로 원하는 행동을 실행 생성자의 self : self 는 객체 자기 자신을 가리킴. 파라미터 호출 없이 그냥 함수 호출하면 된다! KEEP 오늘부터는 이틀간 알고리즘 듣는 기간! 이전에 공부를 해서 그런가 쉽기도 했지만 다시 되짚는 느낌이라 좋았다 프로젝트가 끝나서 쉬어가는 느낌으로 스케줄링된건진 모르겠지만... PROBLEM 오랜만에 강의를 듣게 되서 집중이 잘 안된다. TRY 10월 21일까..

2차 프로젝트 마무리_KPT
Today I Learned 2021. 10. 19. 14:27

2차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었다! 스파르타를 시작한 지 한달이 지났는데, 좋은 팀원들을 만나 감사함은 여전하고 여전히 진로에 대한 고민이 깊다 괜한 검사를 하느라 프로젝트 기간에 입원을 해버려서(10월 12~14일) 아쉽기도 하고 AWS 강의도 꾸준히 들어야겠다. 다음 주차부터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기간인데 강의를 미루는 일 없이 스케줄링 잘 해서 공부 열심히 해야지 KEEP 1. 팀원들과 함께 협업을 진행한 지 한달이 되었는데 서로 격려하고 배려하는 팀 분위기가 계속 지속되고 있는 중 2. 프로젝트 시작 전 모델링을 진행하여 이전보다 프로젝트 진행이 조금 더 매끄러웠던 점 3. 각자 맡은 역할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했던 점 PROBLEM 1. JWT 등 기술 활용이 어려워서 팀장님이 대신 계속 결과물을 확인..

WIL1012
Today I Learned 2021. 10. 12. 02:44

Keep 10월 4일부터 10월 10일까지 팀원들 각자 웹프로그래밍 심화를 공부했고, 11일 오전 9시에 2차 프로젝트 기능 분담을 했다. 깃허브에 각자 마일스톤을 등록하고, 17일까지 각자 기능 구현을 완성하기로 했다. 팀원들과의 협업이나 소통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아주 잘 이루어지고 있어서 만족스럽다! Problem 10월 12일 ~ 10월 14일까지 검사 목적으로 병원에 입원을 해서 기능 구현에 차질을 빚거나 기한이 촉박할까봐 걱정스럽다. 팀장과 함께 detail 부분의 기능을 나눠서, HMTL의 탭 기능을 먼저 구현해서 넘겨주고 싶었는데 여러모로 아쉽다... Try 입원 중과 퇴원 후에도 남는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더 나은 기능 구현을 위해 힘써야겠다. 그리고 에러가 났을 땐 하나 하나 되짚어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