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와 세션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 쿠키와 세션 개념 개요 쿠키와 세션은 개발자 말고도 인터넷 사용자라면 누구나 많이 들어본 단어입니다. 하지만 개념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기에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 interconnection.tistory.com 오버로드 오버라이딩 오버로딩 https://88240.tistory.com/450 [JAVA] 오버로딩(Overloading)과 오버라이딩(Overriding)의 차이점 1. 오버로딩(Overloading) - 메서드의 이름은 같고 매개변수의 갯수나 타입이 다른 함수를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 리턴값만을 다르게 갖는 오버로딩은 작성 할 수 없다. 2. 오버라이딩(Overriding) - ..

파이참의 requests와 같은 것 https://docs.spring.io/spring-android/docs/current/reference/html/rest-template.html 2. RestTemplate Module Using RestTemplate, it's easy to invoke RESTful APIs. Below are several usage examples that illustrate the different methods for making RESTful requests. All of the following examples are based on a sample Android application. You can retrieve the source c docs.spring.i..
-JPA를 사용하기 위해 세팅! 1)application.properties 세팅 2)JPA 실행 코드 // item01Application.java 의 main 함수 아래에 붙여주세요. @Bean public CommandLineRunner demo(LectureRepository lectureRepository) { return (args) -> { Lecture course = new Lecture("웹개발의 봄", "남병관"); lectureRepository.save(course); //레포지터리에서 상속받아 Lecture의 엔티티, 객체를 생성해서 세이브 메소드 호출(인자값으로) = insert문 (jquery 만들어줌) lectureRepository.findAll(); //Select문 생..

스프링 API를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 (대용량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 전세계 프로그래밍언어 사용 트렌드 살펴보기 - 코딩도 잘해야하지만 트렌드도 알아야함!(커리어 쌓기) https://trends.google.com/trends/explore?geo=US&q=java,nodejs Google 트렌드 Google 트렌드에서 java, nodejs에 관한 검색 관심도를 시간, 위치, 인기도순으로 탐색 trends.google.com 스프링 특징 -모듈화가 잘 되어 있음 -> 라이브러리로 조립을 잘 하면 된다! -너무나 양이 방대해서 쉽게 사용 가능하지만 원리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움 파이썬과 인터프리터의 차이 파이썬 : 인터프리터 자바 : 컴파일러 인터프리터는 한 줄 한 줄씩 번역을 진행 -> 한 번에 번역..

lambda에 새로운 함수 bbs를 만들어 새로 시작했다. 새로운 코드에 보안암호를 아이디에 집어넣고 테이블 이름(테이블도 새로 생성)도 코드에서 바꿔주고.. 어제 매달렸는데 결국 role에서 정책 연결 문제였던 듯 하다. 이렇게 정책 연결을 해주어야 한다..... 그다음 vpc도 설정하고 정책연결 한번 더 (vpcfullaccess) 인바운드는 요청(api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 아웃바운드는 외부연동 차단되어있어 고쳐주어야 함 프라이빗하게 되어있으니 nat 게이트웨이(NAT게이트웨이는 프라이빗한 서블릿을 외부 인터넷과 연결)를 생성해줘야 소통 가능 퍼블릭 서브넷 vs 프라이빗 서브넷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넷은 퍼블릭 서브넷 연결이 되지 않은 서브넷은 프라이빗 서브넷 ex)중요한 데이터..

어제 배운 것은 프론트 서버리스, 오늘은 백엔드 서버리스! 도커,쿠버네티스를 쓰는 이유는 EC2로만 백엔드 아키텍처를 만들기엔 한계가 있다 1. EC2 직접 관리(내 컴퓨터를 관리하는 것과 비슷) -> 인스턴스 크기 선택, OS 업데이트, 디스크 용량 조절 등... (EC2 갯수가 늘어나면 더 관리 힘듦) 2. 확장의 유연성 -> 운영 서비스에 트래픽이 몰리면 EC2 추가 -> load balancer에 붙이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 3. 과금 문제 -> aws 사용하면 인프라 관리 효율적이지만 과금이 많이 됨..(서비스 운영 시 유형 조절 어려움) 유연한 인프라와 아키텍처 개선을 위해 aws에서 서버리스 제공! 서버리스 :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서버를 빌려쓰는 형태. 클라우드가 서버를 관리까지 해주는 형태로..

오늘 원격 수업 첫 시간에 배운 내용 정리 기존의 프론트엔드 페이지는 NGINX 웹서버를 인스턴스에 설치하여 관리했습니다. HTTPS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서를 설치해 봤습니다. S3 정적웹호스팅 기능을 사용하여 서버리스로 프론트엔드 페이지를 관리하였습니다. CloudFront와 Certification Manager를 사용하여 HTTPS를 인스턴스 없이 생성해 보았습니다. WAF를 이용하여 좀 더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Route53을 이용하여 DNS를 이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https://teamsparta.notion.site/1-524f4849367f426bb9e95ef0113dc2d4#50b12703704d4416951b2bcb09b14ff3 서버리스 프론트엔드 - 1 매..

Group by : 동일한 범주를 갖는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범주별 통계를 내주는 것 "~별로" 라는 말이 나오면 무조건 group by! 묶은 것과, 묶은 것 당의 카운트를 보여줘! select 범주별로 세어주고 싶은 필드명, count(*) from 테이블명 #중간 부분을 2번째에 써줌 group by 범주별로 세어주고 싶은 필드명; #1번째로 쓰고 SELECT name,count(*) from users group by name Order by : 정렬하기 select name, count(*) from users group by name order by count(*) desc; 더보기 위 쿼리가 실행되는 순서: from → group by → select → order by from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