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의 저장소 종류 4가지를 배웁니다.
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
HTTP 특징 - 상태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stateless)
반대로,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stateful)
그렇기 때문에 HTTP는 저장소가 필요하다.
4개의 저장소가 있는데.
1.접근 범위
2.생존기간
이 다른 저장소가 있고 적재적소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Map형태로 되어있으며 data를 저장하면 된다.
1. 서버 저장소 종류 4개 -> MAP 형태
setAttribute가 저장
getAttribute가 읽기
1.1. 1.pageContext 저장소
- 범위는 같은 jsp 페이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읽기/쓰기 가능)
- 지역 변수, 기본 객체(request, response 등등) 저장
(그 이유는 EL에서는 지역 변수를 쓰지 못하기 때문에 저장소에 저장을 한다)
1.2. 2.application 저장소
- 접근 범위는 wep application 전체에서 접근 가능함
- application은 공통 저장소, 전체에서 한 개 뿐이다.
http는 상태가 없기 때문에, 로그인 후 응답을 받고 글쓰기를 할 때 권한이 있는지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application 저장소에 저장을 한다.
하지만 다른 컴퓨터에서 접근을 하면 map이 다 지워지고 접근한 컴퓨터의 아이디가 저장되므로,
개별적인 아이디를 저장하는 것에는 좋지 않다.

1.3. 3.session 저장소

- 클라이언트가 접근하는 페이지들에서 전부 접근 가능
- 클라이언트마다 한 개의 개별 세션 저장소가 있다.
세션에 아이디 또는 장바구니 값은 값을 저장한다.
(매번 로그인을 다시 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 수 * 세션 저장소
-> 서버에서는 부담이 크다.
1.4. 4.Request 저장소
- 요청할 때마다 생기고, 독립적이다 (제일 부담이 적다)
요청을 할 때마다 한 JSP에서 끝날 수도 있으나,
두 번째 그림처럼 한 개의 JSP가 다른 JSP로 넘기고 두 개의 JSP가 요청을 해준다면 (forward)
request 저장소에 중간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가능하면 다른 페이지에 값을 보낼 때 request 객체를 사용할 수 있는지 고려해본다.

2. 4개의 영역 저장소 정리

3. 속성 관련 메소드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패캠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 11일차 [스프링의 정석:남궁성과 끝까지 간다] (0) | 2023.03.02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 10일차 [스프링의 정석:남궁성과 끝까지 간다] (0) | 2023.03.01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 8일차 [스프링의 정석:남궁성과 끝까지 간다] (0) | 2023.02.27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 7일차 [스프링의 정석:남궁성과 끝까지 간다] (0) | 2023.02.26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 6일차 [스프링의 정석:남궁성과 끝까지 간다]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