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rninghering's Blog
article thumbnail

1. AWS에 서버 구축하기

1.1. Cloud Computing 

  • 인터넷을 통해 AWS에 있는 서버들을 이용하는 것 
  •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이용해서 자원을 사용하면 요청한 사람들이 원하는 만큼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 관리가 쉽고 빠르고 유연한 확장성이 장점. 보안. 필요할 때만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지불

 

1.2. AMAZON Serivice

  •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 -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 Amazon S3 - 확장성, 가용성, 내구성을 가진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제공(Simple Storage Service)
  • Amazon RDS - 관계형 DB 관리 서비스. 관계형 DB(MySQL, Oracle 등)를 모니터링, 주기적 백업

 


on-Premise : 서버를 직접 운영하는 방식
Serverless : 서버 작업을 서버내부가 아닌 클라우드 서비스로 처리
Region : 데이터 센터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곳.
CDN(Content Delivery Network) : 정적 리소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게 전세계의 캐시서버에 복제해주는 서비스.
RDP : Windows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

 

2. TIL

FACTS
AWS에 가입하고

(신용카드 에러가 자꾸 났는데, 다른 아이디를 만들어서 신용카드를 등록하니 에러가 해결됐다. 왜 에러가 났는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인스턴스에 아파치 톰캣 서버를 구축했다. 

중간에 막히는 부분이 몇 개 있어 땀을 뻘뻘 흘리며 강의를 끝마쳤다. 


FEELINGS

두 번째 날인데 AWS에서 일어난 에러로 강의를 끝마치지 못할 뻔 했다. 

덕분에 오늘 강의 3개 듣기로 했는데 2개로 마무리...

하지만 내일 강의에서 인스턴스에 구축한 웹 서버로 무엇을 할 지 무척 궁금하다. 

강사님 목소리가 이선균을 닮아서 강의 제목이 "끝까지 간다" 가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아침에 남궁성 강사님의 자바 강의를 듣는데 잠이 와서 그런지 진짜 이선균같았다.(광고 아니다)

자바 강의도 끝까지 들으면 좋다고 하시니, 열심히 들어야겠다.


FINDINGS

Amazon EC2는 컴퓨팅 용량을 클라우드 제공하는 서비스,

S3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RDS는 관계형 DB 관리 서비스!

 

FUTURE

텀블벅 회사에 관심이 생겨 원티드에 정보를 알아보니 2년차 개발자를 선호한다고 한다.

빨리 취업하고 싶다.

열심히 강의 듣고 복습하고 자바 기초를 다져야겠다.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http://bit.ly/3Y34pE0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profile

Burninghering's Blog

@개발자 김혜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