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를 하자면. A가 있고 B가 있다. A는 가구를 만드는 사람이다. 그리고, B는 나무이다. A가 B를 가지고 가구를 만들어야 하는데, A가 나무 통나무 그대로를 가지고 가구를 만들 수 있을까? 그건 좀 아니올시다.
B인 나무를 잘 자르고 가공하여 목재로 만들어야 A가 그것으로 가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일련의 과정을 Mount 한다라고 말한다.
컴퓨터는 여러가지의 복합체이고, 시스템들의 복합체이기 때문에. Mount 한다는 단어가 생긴다.
어떠한 소스파일을 Compile 한다는 것도, 운영체제가 사용할 수 있도록 Mount하는 것의 구체적인 예라고 이해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상의 데이터들을 렘으로 올리는 것도, Mount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 위치 즉 디렉터리에 연결시켜주는 것을 마운트라고 한다.
출처 : 아래 블로그
마운트(Mount)하다.
컴퓨터를 공부하다보면은, Mount 라는 단어를 자주 만난다. Mount? 뭐지? 등산한다는 뜻인가? 마운테인? ...
blog.naver.com
마운트(mount) 뜻, 관련 명령어 & 문제 (fdisk, df, mkfs,디스크마운트)
리눅스 완전 정복 : 리눅스 목차 아마 마운트라는게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우리가 실감할 일이 없기 때문에 리눅스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이예요. 오늘은 마운트에 대해
jhnyang.tistory.com
'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 에러 (0) | 2022.04.22 |
---|---|
사용중인 포트 죽이기 (0) | 2022.04.19 |
[Github] 커밋 날짜 변경하기 (0) | 2022.04.16 |
[로스트아크]비아키스 패턴 정리 (0) | 2022.04.03 |
[Github]푸쉬를 했는데 잔디가 안심어진다 (0) | 2022.03.18 |